BOJ Java 노트¶
백준/solved.ac 기반 Java 17 코딩테스트 준비 기록.
- 개념을 비유로 이해하고
- 최소 템플릿으로 바로 구현하고
- 문제별로 패턴/실수를 축적합니다.
원칙: 이해 → 구현 → 패턴화
습관: 입력 범위로 허용 복잡도부터 가늠하기
🔗 빠른 링크¶
- 저장소: https://github.com/V4N1LLA/boj-java
- solved.ac: https://solved.ac/v4n1ll4
- 진행 현황표(README): https://github.com/V4N1LLA/boj-java#-진행-현황
🚀 빠른 시작¶
1) 새 문제 스캐폴드
src/main/java/boj/p1260/{Main.java,input.txt}
2) IntelliJ 실행 구성 - 메인 클래스: boj.p1260.Main
- 입력 리디렉션: 해당 input.txt
3) 문서 기록(3줄 규칙) - 파일: docs/problems/01260.md
- 접근 / 복잡도 / 후기 한 줄씩 - 필요하면 mkdocs.yml
의 nav
에 링크 추가
4) 푸시하면 자동화 동작 - CI: Gradle 컴파일 체크 - README 표: readme-sync
가 자동 갱신 - 문서: GitHub Pages로 자동 배포
작성 규칙
문제를 풀면 docs/problems/<번호>.md
에 접근·복잡도·후기를 꼭 남깁니다.
나중에 패턴 회고와 재풀이 속도가 확 달라져요.
📚 문서 맵¶
- 템플릿
- Java 입출력 템플릿
- 알고리즘
- 시간 복잡도
- 이분 탐색
- DFS/BFS
- 문제 메모
- BOJ 1920
🧱 규칙/관례(요약)¶
- 패키지:
boj.p{문제번호}
(예:boj.p1920.Main
) - 커밋 예시:
:sparkles: feat(boj): 1920 수 찾기 – 이분 탐색
:bug: fix(boj): 2178 경계 체크
:memo: docs(problems): 01920 회고 추가